1. Jdk 설치
A. Jdk버전 확인
i. yum list | grep jdk

B. jdk 설치
i. yum install -y java-11-openjdk.x86_64(설치할 버전 확인하여 진행할 것)

2. 젠킨스 repo 추가
A. wget -O /etc/yum.repos.d/jenkins.repo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repo

B. rpm --import https://pkg.jenkins.io/redhat-stable/jenkins.io.key

3. 젠킨스 설치
A. yum install -y jenkins.noarch

4. 설정정보 확인
A. 젠킨스 기본 포트는 8080으로 사용 포트 및 기타 설정정보를 변경하는 경우 config파일 정보를 수정한다.
i. vim /etc/sysconfig/jenkins

5. 방화벽 설정 (하기 스샷은 참고용 테스트서버로 방화벽 비활성화 상태)
A. firewall-cmd --permanent --add-port=8080/tcp (8080말고 다른 포트 사용할 경우 맞춰 수정할것)
B. firewall-cmd –reload

6. 서버 부팅 시 자동 시작되도록 설정
A. systemctl enable jenkins

7. 젠킨스 시작
A. systemctl start Jenkins

8. 젠킨스 접속 및 패스워드 입력

9. 플러그인 설치


10. 관리자 계정 생성

11. 설정 완료



'GitHub Enterprise DevOp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JetBrains Upsource(코드리뷰) 설치 및 GitHub Enterprise 연동 (0) | 2019.05.08 |
|---|---|
| CentOS 원격접속 설정 (xrdp) (0) | 2019.05.03 |
| zabbix 설치 (Zabbix 4.2 / CentOS7 / MySQL) (0) | 2019.05.03 |
| GitHub Enterprise – SNMP 모니터링 설정 (0) | 2019.05.03 |
| TeamCity Setting - GitHub Enterprise 연동 (0) | 2019.05.03 |